은퇴 후 공무원연금을 받으며 부업을 하거나 임대수익, 금융이자를 얻는 사람들이 많습니다.
이때 가장 많이 하는 질문이 있습니다.
“연금도 세금 내는데, 부업 소득까지 있으면 세금이 더 붙나요?”
이 글에서는 공무원연금 수령자가 다른 소득(근로, 임대, 금융 등)을 동시에 가질 때 세금이 어떻게 계산되는지 정확하게 설명하고, 절세 전략까지 안내합니다.
1. 공무원연금 + 다른 소득 = ‘종합소득’으로 과세
- 연금소득: 연 1,200만 원 초과 시 종합과세
- 근로소득: 부업, 강의, 고문료 등
- 임대소득: 연 2천만 원 초과 시 종합과세
- 금융소득: 연 2천만 원 초과 시 종합과세
합산 후 누진세율(6~45%) 적용됩니다.
2. 연금 외 소득이 많을수록 세금은 가파르게 오른다
소득이 많아질수록 누진세율 구간에 따라 세금은 급격히 증가합니다.
예: 연금 2,400만 원 + 금융소득 2,500만 원 + 부업 1,200만 원 → 종합소득세 대상
3. 세금 부담을 낮추는 실전 전략
- 연금소득 분리과세 선택 (1,200만 원 이하)
- 임대소득 14% 단일세율 분리과세 신청
- 금융소득 자동분리과세: 2천만 원 이하 시 원천징수
- 소득 시기 분산 수령
- 공제 항목 활용: 연금저축, 기부금, 의료비 등
결론: 연금 외 소득이 있다면 ‘합산과세’를 반드시 점검하라
전체 소득구조를 파악하고, 매년 ‘합산과세 대상인지’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.
은퇴 후 진짜 수입은 ‘세후’로 결정됩니다.
📌 Q&A 자주 묻는 질문
Q1. 금융소득은 자동으로 분리과세 아닌가요?
A. 2천만 원 이하일 경우 원천징수로 분리되며, 초과 시 종합과세에 포함됩니다.
Q2. 임대소득도 세금 신고 대상인가요?
A. 네. 분리과세를 선택해 세금 부담을 낮출 수 있습니다.
Q3. 연금 외 소득은 어떻게 줄일 수 있나요?
A. 수령 시기 조정, 분리과세 선택, 공제 활용 등이 유리한 전략입니다.